건강

🧪 혈액검사 결과표 해석, 이것만 알면 어렵지 않다

cozyqueen 2025. 4. 18. 15:02
반응형

🧪 혈액검사 결과표 해석, 이것만 알면 어렵지 않다

“수치 하나하나가 내 몸의 경고등일 수 있습니다”

건강검진을 받고 나온 혈액검사 결과표,
수치도 많고 단위도 낯설어 어디를 봐야 할지 막막하시죠?

하지만 핵심만 알면
단순 수치가 아닌 내 건강상태의 단서를 충분히 읽어낼 수 있습니다.
지금부터 혈액검사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항목을 중심으로 쉽게 설명드릴게요.


✅ 기본 혈액 검사 항목 & 해석

1️⃣ 백혈구 수치 (WBC)

면역 기능, 감염 여부 판단

  • 정상: 4,000~10,000 /μL
  • 수치 상승: 염증, 세균감염, 백혈병 가능성
  • 수치 감소: 바이러스 감염, 면역저하, 항암치료 영향

2️⃣ 적혈구 수치 (RBC), 헤모글로빈 (Hb)

산소 운반 기능 / 빈혈 유무 확인

  •  정상 RBC: 남 4.56.0 / 여 4.05.5 (10⁶/μL)
  • 정상 Hb: 남 1317 / 여 1216 g/dL

❗ 낮으면 빈혈, 높으면 탈수, 심장질환, 고산지 체류 등 의심


3️⃣ 혈소판 (PLT)

혈액 응고 기능

  • 정상: 15만~45만 /μL
  • 감소: 출혈 위험↑, 백혈병, 자가면역 질환 가능성
  • 증가: 염증, 철분 부족, 골수질환 등

✅ 간 기능 검사 (LFT)

4️⃣ AST(GOT) / ALT(GPT)

간세포 손상 확인

  • 정상: 0~40 U/L 이하
  • 둘 다 상승: 간염, 간경변, 약물 독성 가능성

✔ AST > ALT: 심근경색, 근육 질환 가능성
✔ ALT > AST: 간 질환 가능성 ↑


5️⃣ 감마GTP (r-GTP)

음주 관련 간 기능 지표

  • 정상:
    • 남성: < 60 U/L
    • 여성: < 40 U/L

❗ 과음, 지방간, 간독성 약물 복용 시 수치 급상승


✅ 신장 기능 검사

6️⃣ 크레아티닌 (Creatinine)

신장 기능 지표

  • 정상: 남 남 0.71.3 / 여 0.61.1 mg/dL
  • 상승: 신장 기능 저하 가능성

7️⃣ BUN (요소질소)

  • 정상: 7~20 mg/dL
  • 상승: 탈수, 단백질 과다 섭취, 신장 문제 가능성

✅ 지질(콜레스테롤) 검사

8️⃣ 총콜레스테롤

  • 정상: < 200 mg/dL

9️⃣ LDL (나쁜 콜레스테롤)

  • 정상: < 130 mg/dL (심혈관질환자는 < 100 권장)

🔟 HDL (좋은 콜레스테롤)

  • 정상: 남 > 40 / 여 > 50 mg/dL

🔢 중성지방 (Triglyceride)

  • 정상: < 150 mg/dL

❗ 고지혈증은 심혈관질환, 당뇨, 지방간의 주요 위험인자입니다


✅ 공복 혈당 & 당화혈색소

11️⃣ 공복 혈당 (FBS)

  • 정상: 70~99 mg/dL
  • 100~125: 공복 고혈당 (당뇨 전단계)
  • 126 이상: 당뇨병 진단 기준

12️⃣ HbA1c (당화혈색소)

  • 최근 2~3개월 평균 혈당 상태 반영
  • 정상: < 5.7%
  • 당뇨 전단계: 5.7~6.4%
  • 당뇨병 진단: 6.5% 이상

📝 혈액검사 결과표 보는 순서 TIP

  1. 전체 수치에서 ★표시(참고치 초과) 먼저 보기
  2. 백혈구·적혈구·혈소판 → 혈액 이상
  3. AST/ALT → 간기능
  4. 크레아티닌/BUN → 신장기능
  5. 혈당/콜레스테롤 → 대사질환 위험
  6. 이상 항목은 최근 복용약, 질환 이력과 함께 해석

📌 병원 가야 하는 경우

  • 간 수치(AST/ALT) 2배 이상 상승
  • 크레아티닌, BUN 상승 + 부종, 소변량 감소
  • 백혈구 급감 or 비정상적 증가
  • 당화혈색소 6.5% 이상
  • LDL 190 이상, 중성지방 500 이상

❗ 단순 수치 해석이 아닌 ‘증상 + 병력 + 패턴’을 종합해야 정확합니다.

 

✅ 마무리

혈액검사 수치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
내 몸이 보내는 ‘건강 상태의 지도’입니다.
지금 이 순간에도 당신의 간, 신장, 혈관, 면역은 조용히 일을 하고 있죠.
그 신호를 놓치지 않는 것이 진짜 건강관리의 시작입니다.

반응형